[전자연구노트(ELN) 탐구-19] 전자연구노트의 기본요건(2)
페이지 정보
2021.08.20 / 86관련링크
본문
[전자연구노트 탐구]
열 아홉 번째 주제
"전자연구노트의 기본요건 (2)"
안녕하세요~ 케이노트 입니다.
오늘은 전자연구노트의 확장 요건 (2)로 돌아왔습니다.
확장요건은 기본 요건을 바탕으로
세부적으로 필요한 기능을 이야기 합니다.
1편을 아직 안 읽으셨다면
아래 링크를 통해 먼저 읽어주세요~!
이번 내용을 시작하기에 앞서 케이노트가 새롭게 준비하고 있는
전자연구노트에 대해 간략히 소개하는 시간을 가지도록 할게요.
새 전자연구노트는
현장에서 열심히 연구를 진행하시는 연구원님들의 의견을 적극 수렴하여
보다 편리하게 연구 노트 작성을 할 수 있도록 알찬 기능을 바탕으로
만들어지고 있으니 많은 관심 부탁드릴게요~!
그럼, 본격적으로 전자연구노트의 확장 요건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사용자 관리
전자연구노트는 서면으로 작성되어 자필로 기록된
서면연구노트와 달리,
시스템을 통해 전자적으로 연구노트를 작성하기 위해
시스템 사용 전 본인 인증이 필요합니다.
본인 확인을 위해
사전에 시스템 사용자에 대한 인증 정보를
미리 등록하기 때문에 일일이 서명을 하지 않아도
자동으로 처리가 되어 이용에 편리합니다.
전자연구노트 보관 및 관리
서면연구노트에서 색인 작업을 한 후,
이를 연구노트 작성 년/월 또는 연구노트의
특성 등에 따라 분류하여 보관하듯이,
전자연구노트도 작성된 내용을 분류하여
체계적으로 보관/관리 하는 것을 이야기 합니다.
전자연구노트를 이용해 데이터를 보관하면
한 눈에 쏙 들어오는 연구 이력을 관리할 수 있습니다.
전자연구노트의 백업
백업과 관련된 부분은 케이노트의 새로운
전자연구노트를 준비하며 가장 중점을 둔 부분입니다.
연구노트에 대한 기존 보존년 30년을 충족하고
데이터의 안전성 확보를 위해
수시로 백업을 받아 보관해 두어야 합니다.
연구 결과를 장기간 보존하는 것이 가장 중요한
전자연구노트인 만큼 주기적으로 백업작업을 수행하여, 문제 발생 시 복구가 가능하도록 하여야 합니다.
검색 및 활용
전자연구노트는 필요 시 보관된 연구노트를
활용할 수 있도록
보관시점에 기록한 색인정보, 분류정보 등에 의해
검색할 수 있는 기능을 제공해야 합니다.
검색 기능은 서면 연구노트와 달리 빠르게 연구자가
필요로 하는 정보를 찾을 수 있어
업무의 효율성을 증가시켜 줍니다.
또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