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05 수소 사회로의 진입
안녕하세요. 알기 쉬운 수소이야기를 전해드리는 수전해/수소연료전지 기반 발전시스템을 개발하는 ㈜케이워터크레프트입니다. 저번 시간에는 탈탄소화를 위한 수소 인프라가 세계 각국에서 어떻게 구축되고 있는지에 관하여 알아보았는데요.오늘은 수소사회로의 진입에 대하여 알아보겠습니다. 환경적, 경제적 측면에서 긍정적인 영향을 가져다 줄 것으로 기대되는 수소 사회로의 진입은 전 세계적인 프로젝트로, 분야를 막론하고 전방위적인 협력이 필요합니다. 각 국가와 기업들은 수소 사회의 주도권을 가져가기 위해 끊임없는 연구를 진행 중입니다. 다만 이런 노력만으로 수소 사회에 진입할 수 있는 것은 아닙니다. 수소 에너지 활용에 대한 인식 개선, 주요 인프라의 선행 구축, 수소 에너지 관련 기술의 보편화 등 민감한 사항들도 해결해야만 합니다. 실제로 대부분의 사람들은 수소가 가진 잠재력에 대해서는 공감하지만, 안전성이나 화석연료 대비 효율성에 대해선 의문을 갖습니다. 수소 기술을 선도하고 있는 그룹은 수소 에너지에 대한 불안감 해소를 위해 수소 에너지의 다양한 활용 사례를 대중에게 더 많이 노출시킬 필요가 있습니다. 불안감의 해소는 대중의 관심과 사용 욕구를 불러일으키고, 이는 정부와 금융계를 비롯한 각 투자 그룹의 인프라 투자로 이어지는 선순환 구조를 만듭니다. 이를 위해서는 기술의 독점보다는 파트너십 구축을 통한 협력도 활발히 이뤄져야 합니다. 우리나라는 2018년 수소경제 활성화 관련 법안을 발의하고 2019년 수소경제 로드맵을 발표하여, 수송 및 발전분야에서 수소산업이 전방위적으로 발전 할 것을 예측하며, 준비하고 있습니다. 독일, 미국, 일본 등 세계 선진국들은 이에 앞서 2000년대 초반 수소타운, 수소선박, 수소발전 등에 많은 투자를 하며 실증단계에 이르러왔습니다. 먼저 유럽은 재생에너지 중심 수소정책을 추진해오고 있습니다. 독일의 경우, 2060년 재생에너지 비율 목표치가 60%로, 재생에너지 활용 수소를 생산하고, 대용량 수소 저장소를 구축하여 그리드를 통해 공급하는 계획을 세워 추진하고 있습니다. EU FCH JU (Fuel Cell and Hydrogen Joint Undertaking)를 중심으로 이루어지고 있는데,독일은 2023년까지 수소충전소를 400개, 수소전기차 27만대 보급하여 수소전기차의 초기시장 진입을 지원하는 정책도 진행하고 있습니다. 미국은 지자체, 연방정부 및 민간기업이 협력체계를 구축하여 민관 파트너십을 결성하여 수소자동차, 수소충전소 및 수소발전기 등의 수소에너지 정책을 추진 중에 있습니다. (수소경제 활성화 로드맵, 2019) 또한, 2050년까지 Carbon Free 5000 만 톤의 수소생산을 통해 50%의 온실가스를 저감할 계획입니다. 특히, 캘리포니아는 2050년까지 자동차의 87%를 친환경차로 보급하는 계획을 세워 추진하고 있습니다. 수소전기차는 2023년까지 123개 충전소 구축 및 6만대 차량보급을 지원할 예정입니다. 미국은 이와 같은 수소 연료전지 보급을 다른 지역으로 확대해 나가는 정책을 추진하고 있습니다. 마지막으로 일본은 2016년 수소연료전지 전략로드맵을 세워 수소전기자동차 및 가정용 연료전지 보급을 추진하고 있습니다. 수소전기차는 2030년까지 30만대, 충전소 900기 건설을 추진하고 있으며, 이미 일본 내 4개 도시에 총 100여개 충전소가 운용되고 있습니다. 또한, 일본은 수소를 국가에너지 탈 탄소정책 중심이 되도록 2014년 에너지기본계획 내 수소에너지 사회 구축을 넣어 추진하고 있습니다. 이는 2040년까지 CO2 없는 수소공급 시스템을 구축하고, 2020년 도쿄올림픽에서 그 가능성을 보여준다는 계획입니다. 특히 일본은 카본 프리 에너지 사회 구현을 위해 전 세계 풍부한 재생에너지 자원을 수소로 전환하여 이를 수입, 일본 내 보급하는 프로그램을 국가적 차원에서 진행하고 있습니다. 수소연료전지 발전시스템을 개발하는 (주)케이워터크레프트에서도 국제적 흐름에 발맞춰 수소연료전지 제품의 개발에 집중하고 있는데요. 대표적으로 수소연료전지 발전기, 이동수단 및 수소/전기 충전소가 있습니다. 수소 사회를 위한 전방위적인 협력이 필요한 것은 수소가 인류의 숙제인 환경보호와 에너지원 공급의 trade-off 관계를 풀기 위한 해결책이 될 수 있기 때문입니다. 깨끗한 공기, 언제 어디서나 활용 가능한 경제적인 에너지, 새로운 일자리 창출까지... 수소 사회로의 진입은 선택이 아니라 필수라고 보여집니다. 참고문헌. 수소산업 동향 및 산업발전 전망(임희천)오늘은 수소 사회로의 진입에 관하여 알아보았습니다.다음 시간에는 미래에너지 혁명: 수소 경제에 대해 소개해드리겠습니다. We Build Sustainable Clean Energy World수전해/수소연료전지 시스템 전문기업 #수소 #수소에너지 #수소란 #수소의정의 #수소의특징 #친환경에너지 #케이워터크레프트 #KWATERCRAFT #Hydrogen #수전해 #연료전지 #에너지자립형전력공급장치 #WATERSTATION #워터스테이션
[이 게시물은 최고관리자님에 의해 2020-06-08 18:26:11 알기쉬운수소이야기에서 이동 됨]