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WC 수소 리포트

#69 "환경 정책" 시작에 본격적인 박차를 가한다.

페이지 정보

2024.01.19 / 35

본문

안녕하세요 케이워터크레프트입니다.

작년부터 ‘ESG 경영’과 같은 키워드들이 떠오르며

환경에 대한 관심이 커지고 있습니다.

특히 올해는 본격적으로 환경 정책들이 강화되며

친환경 사업이 발전하는

한 해가 될 것으로 보여지는데요!

전 세계 국가와 기업에서 탄소중립에 대응하기 위해

어떤 환경 정책이 시행되는지 알아보며

2024 환경 트렌드를 살펴보도록 하겠습니다.

픽사베이 무료이미지

‘탄소 중립’이란 단어가 처음 등장한 것은

유엔 기후변화협의체의 「지구 온난화 1.5도

특별 보고서」입니다.

현 속도로 지구 온난화가 지속되면

2030 ~ 2052년 사이

지구 평균 기온이 1.5도 상승할 것이고 이는 심각한 이상기후를 야기할 것이라 했죠.

이러한 현상을 방지하기 위해 많은 국가들은 2030 탄소 중립을 외치며

지구 온난화에 대응할 수 있는 정책들과 방안들을

고안하게 됩니다.

그렇게 시간이 지나 어느덧 2024년도가 왔고

우리가 목표로 했던 2030 탄소중립까지 6여년의 시간 밖에 남지 않았습니다.

하지만 이제까지 국가들에서 환경 정책이

더디게 진행되며

아쉬운 모습을 보여주었는데요.

2024년이 되며 국가들은 본격적으로

그동안 내었던 정책들을 실현하기 위해

시동을 걸고 있습니다.

freepik 무료이미지

대표적인 정책이 오늘 다루어 볼

‘탄소국경세’입니다.

탄소 국경세를 들어보신 적이 있으신가요?

‘탄소 국경세’란 이산화탄소 배출 규제가

느슨한 국가가

규제가 강한 국가에 상품·서비스를 수출할 때 적용받는 일종의 환경 무역 관세입니다.

원래의 명칭은 탄소국경조정제도(CBAM)으로

원칙적으로 유럽을 제외한

모든 국가에서 생산되는 제품에 적용합니다.

조금 더 자세히 살펴보면 유럽의

탄소 국경 조정 매커니즘(CBAM)이 발효되면

철강 1톤을 생산할 때 발생하는

이산화탄소가 유럽의 평균보다 높으면 그 차이만큼 탄소세를 내야하는 것입니다.

그럼 어떤 품목에 탄소세가 적용되는 것이며

탄소세를 적용하게 된 배경은 무엇일까요?

우선 탄소세의 적용 대상은

철강, 시멘트, 전력, 비료, 알루미늄과

수소 6개 품목입니다.

탄소세의 도입 배경에는 나라 별로

다른 탄소 규제 기준을 볼 수 있습니다.

유럽의 경우 타 국가보다 엄격한 탄소 배출

규제를 시행하고 있습니다.

이는 유럽 내 기업들의 생산비용을 늘리게 되며

정책의 한정성이 많이 나타나게 되었죠.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해 자국의 기업을 보호하고 전 세계 탄소 배출량을 줄일 수 있는

실질적인 방안을 제안한 것입니다.

유럽이 지난해 10월부터 철강 수입품에

추가 관세격인 탄소국경조정제도(CBAM)를

본격적으로 시행할 준비에 돌입하며

현재 전환 기간에 있습니다.

전환 기간이 끝나는 2026년부터 수출품 제조 과정에서 EU 기준을 넘어선 탄소배출량에

대해 배출권(CBAM 인증서)을 구매해야 하는

상황에 탄소 배출이 많은

글로벌 기업들이 고민을 안고 있는 상황이죠.

freepik 무료이미지

2030탄소 중립을 위해서는 탄소 배출을 규제하는 것이 필수적인 상황입니다.

탄소국경세와 같은 여러 환경 정책에 유연하게

적응하기 위해서는

많은 시간과 노력이 필요합니다.

지구를 지킬 수 있는 시간이 얼마 남지 않은 만큼

변화에 박차를 가할 시기입니다.

환경을 위해 발전해야만 하는 수소 에너지,

케이워터크레프트가 함께 하겠습니다.

그럼 케이워터크레프트는 다음 재미있는 수소 이야기로 돌아오겠습니다.